BOOKS

슬픈 열대 (Tristes Tropiques, Claude Levi-Strauss, 1955)

조회 수 3381 추천 수 0 2014.10.08 11:51:38

슬픈열대.jpg



나 같은 철학 문외한에게 <슬픈 열대>의 장점은, 비교적 쉽게 읽을 수 있다는 것이다

저명한 구조주의 철학자이자 인류학자인 끌로드 레비 스트로스의 이 유명한 저서는 철학적 깊이가 깊다고 해서 어려워야 한다는 선입견을 살짝 뛰어 넘는다. (대체로 푸코는 혼란스럽고, 라깡은 쉬운 말도 어렵게 하고, 롤랑 바르뜨는 아무리 짧은 글이라도이해불가.)

기행문 형식의 <슬픈 열대>는 그가 유람하는 뱃길과 그가 관찰한 남아메리카 원주민들의 생활상을 둘러보는 것이 주된 내용이다.

우리가 문명이라고 부르는 것은 대체 무엇인가?
문명은 과연 더 우월함을 의미하는가?
<
발달된 서구 문명>이 지니는 가치는 브라질 오지의 원주민들이 가지는 가치보다 더 큰 것일까?

스트로스는 문명화된 사람들이 역겨워 마다 않는 식인 풍습을 비롯하여, 갖가지 <야만스러워 보이는> 원주민들의 풍습들이 사실은 얼마나 정교하고 나름대로의 이유가 있는 지를 매우 자세한 관찰과 사유로 설명한다. <야만스런> 브라질의 부족들도 그들에 걸맞는 가치관을 가지고 있으며, 그들의 사회 안에서 행복하게 살아간다. <문명화된>인간이 정해둔 가치관이나 행복을 똑 같은 기준으로 그들에게 들이댈 수는 없다는 것이다


더구나 <문명화된> 사회를 자세히 해부해 보면, 이 원주민들의 풍습이 가지고 있는 인류학적 의미들과 동일한 부분이 수도 없이 많다는 것이 스트로스의 주장이다. 모든 사회는 다를 수는 있어도, 우열을 가릴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물론 <그들만의 기준>이 모든 것을 용서받을 수 있는 면죄부는 아니지만, 한 번쯤 깊게 생각해 볼 문제이기는 하다.


스트로스는 염세주의적 종교관을 일종의 해답으로 제시한다. 천국이나 지옥 같은 내세는 없으며, 모든 것이 로 환원되는 불교를 해결책의 예로 들고 있다

어떤 하나의 가치를 내세우는 종교나 사회보다는 개인이 아니라 세상의 모든 이치를 설명할 수 있는 형이상학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에게 있어서 현세는 종교가 사회, 경제를 잠식하고, 사회와 경제가 인간성을 속박하는 상태이다

사회적으로는 불교가 제시하는 형이상학을, 경제적으로는 마르크시즘을 통해서 이러한 인간성 상실을 극복해야 한다는 궁극적인 가치관을 제시한다


나는 그의 견해를 부분적으로 수긍하지만, 전체적으로는 이상주의적인 소박함에 매몰되어 있다고 생각한다. 

문명이 가지고 있는 교만을 꾸짖을 수는 있겠지만, 그 업적을 폄하하는 것에는 동의하지 않는다.  


   "인간의 본질은…….. 
인간의 어떤 작품보다도 더 아름다운 자연을 관조하는 것에서
또는 인간이 쓴 어떤 책들에서 보다 더 미묘하게 피어 오르는 백합꽃의 향기에서
또는 고양이와 나눌 수 있는 우리의 눈길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21세기 미국의 패권과 지정학 (The accidental superpower), Peter Zeihan, 2018 file

  • marcus
  • 2020-05-09
  • 조회 수 29953

총,균,쇠 (Guns, germs, and steel), Jared Diamond, 1997 file

  • marcus
  • 2020-05-09
  • 조회 수 1049

프로이트 & 라캉, 무의식에로의 초대 (2010, 김 석) file

  • marcus
  • 2015-01-10
  • 조회 수 2407

프로이트는 이미 상식이 일부가 되어버렸다. 20세기 초만 해도 생소하던 <무의식>은 이제 초등학생도 입버릇처럼 달고 다닌다. 하지만 라캉은 여전히 새롭고, 생소하고, 난해하다. (원래 그렇다) 라캉의 기본에 대해서 이렇게 일목요연하고 쉽게 정리한 책은 난생 처음이다. 그렇다고 너무 겉핥기만 해서...

인간 본성에 대하여 (On human nature, Edward O. Wilson, 1976) file

  • marcus
  • 2015-01-10
  • 조회 수 2040

1976년에 발표된 이 책은 당시로서는 놀랍고도 획기적이었다. 곤충학, 특히 사회성이 극도로 강한 개미에 대한 연구로 유명한 동물학자였던 에드워드 윌슨은 사회생물학이라는 학문이 인간의 삶을 보다 근원적으로 설명해 줄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인문학과 자연과학을 통합하여 생각하는, 소위 통섭의 개념...

푸코, 바르트, 레비스트로스, 라캉 쉽게 읽기 (우치다 타츠무, 25011) file

  • marcus
  • 2015-01-07
  • 조회 수 16235

푸코의 예를 들면, 그의 저작 중 한 권을 머리를 싸매고 읽어도 정확히 무엇을 이야기 하는 지 알기가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더구나 그의 일생을 관통하는 철학적 체계를 이해하자면 <지식의 고고학>부터 <성의 역사>까지 여러 권의 책을 읽어야 하므로 엄청난 에너지와 시간이 필요하다. 다른 세 ...

대성당 (Cathedral, Raymond Carver) file

  • marcus
  • 2015-01-07
  • 조회 수 2073

현대 미국 단편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인 레이먼드 카버의 단편집. 그의 단편들은 하나같이 간결하고 군더더기 없는 문체로, 산뜻하다. 긴 수식이나 비유가 없고, 감정은 절제되어 있으며, 건조하며 또렷하다.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방식도 간결하다. 어떤 짧은 단편은 기승전결을 따질 것이 없을 정도로 단...

도시의 승리 (Triumph of the City, Edward Glazer, ) file

  • marcus
  • 2014-10-31
  • 조회 수 3409

많은 사람들은 도시가 복잡하고, 위험하고, 지저분한 곳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정작 도시가 부지불식간에 우리에게 선사하는 혜택에 대해서는 무관심하다. 조영남이 <도시여 안녕>을 목놓아 부르지 않아도 많은 사람들은 도시를 떠나고 싶다는 것을 무슨 대단한 자랑처럼 이야기한다. 하지만 ...

슬픈 열대 (Tristes Tropiques, Claude Levi-Strauss, 1955) file

  • marcus
  • 2014-10-08
  • 조회 수 3381

나 같은 철학 문외한에게 <슬픈 열대>의 장점은, 비교적 쉽게 읽을 수 있다는 것이다. 저명한 구조주의 철학자이자 인류학자인 끌로드 레비 스트로스의 이 유명한 저서는 철학적 깊이가 깊다고 해서 어려워야 한다는 선입견을 살짝 뛰어 넘는다. (대체로 푸코는 혼란스럽고, 라깡은 쉬운 말도 어렵게 하고, ...

엄마를 부탁해 (신경숙, 2007) file

  • marcus
  • 2014-09-27
  • 조회 수 3310

그 어느 누구에게든 엄마라는 존재는 숨쉬는 공기와 같다. 엄마의 자리는 비어있을 때는 한없이 아쉽고 간절하지만, 차 있을 때 우리는 그 존재를 의식하지 못한다. 어느 순간, 매일 뜨고 지는 해가 어깨를 누르는 느낌이 들 때가 오면, 이제는 볼 수 없는 엄마를 향해 머리를 돌리는 것이 우리가 엄마를 인식하는 방법이...

나를 운디드니에 묻어주오 - 미국 인디언 멸망사 (Bury my heart at Wounded Knee, Dee Brown 1970) file

  • marcus
  • 2014-09-25
  • 조회 수 4141

한 장 한 장 마다 미국 인디언이 멸족 당한 역사를 간략히 담고 있는 이 책은 아름답거나 재미있지는 않다. 이 책은 신대륙에 침입한 백인들의 야수성에 대한 참담하고 건조한 보고서이기 때문이다. 인디언들은 다만 자기가 살던 땅에서 수 만년간 살던 대로 살아가기를 원했을 뿐이다. 하지만 그 땅에서 ...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