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IES

본 얼티메이텀 (Bourne Ultimatum, Paul Greengrass 2007)

조회 수 3211 추천 수 0 2014.09.27 12:33:30

bourne.jpg



본 얼티메이텀 (Bourne Ultimatum, Paul Greengrass 2007)


훌륭한 영화가 성공한 후 만들어진 속편은 일단 점수를 깎이고 들어가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강박관념은 종종 무리수를 두게 만든다. 따라서 속편이 전편의 작품성을 뛰어넘지 못하는 것은 이미 하나의 법칙처럼 되어있다. 그런데 여기 놀랍게도 속편이 나오면 나올수록 더 엄청난 힘을 가지는 괴물 같은 시리즈 영화가 있다. ‘본 얼티메이텀은 대단했던 전편본 아이덴티티본 수프리머시의 매력을 고스란히 이어받은 또 하나의 놀라운 속편이다.

 

1편에본 아이덴티티는 작전에 실패 한 후 총상을 입고 바다에 표류한 후 자신이 누구인지를 기억하지 못하는 CIA최정예 암살요원 제이슨 본(맷 데이먼 분)의 정체성을 회복하기 위한 안간힘을 그렸다. 제목 그대로 자신이 누구인지를 찾는 여정이 영화의 줄거리이다. 2본 수프리머시 CIA 내부의 음모와 비리를 덮어두기 위해 제이슨 본을 죽이려는 고위관리들을 오히려 그가 두드려 부순다는 이야기이다. ‘본 얼티메이텀 2편의 이야기를 그대로 받아서 목표물로 정해진 어떤 개인이든 그 일거수일투족을 모두 감시하고 제거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든 CIA간부 조직이 역시 제이슨 본에게 제압된다는 이야기이다.

줄거리만 놓고 보면 각 편의 이야기 자체는 어느 정도 예상 가능하다고 느껴지지만 영화는 결코 관객을 그렇게 안이하게 취급하지 않는다. 몇 가지 중요한 요소들에 있어서본 시리즈는 지금까지의 댄디한 여러 정보기관을 소재로 한 영화들과는 차별된다. 이를테면 007시리즈를 보자. 수많은 제임스 본드 시리즈 중 어느 것을 보아도 구경거리는 넘쳐나는 것이 분명하다. 하지만 영화가 끝난 후 줄거리가 생각나는 007 시리즈가 하나라도 있었던가? ‘007 두번 산다 ‘007 죽느냐 사느냐, 중요한 것은 내러티브 구조가 아니다. 흐트러짐 없이 멋진 제임스 본드, 뇌쇄적인 본드 걸, 신기한 하이 테크 무기와 아름다운 휴양지, 깔끔한 액션을 제외하면 영화는 허황된 신기루만 남는다. 아예 처음부터 내러티브나 메세지에 대해서는 관심이 없고, 영화 가 끝난 후 이야기가 기억될 필요도 없다는 것이 007시리즈의 전형적인 태도였다.

 

이에 비하면 이 본 시리즈는 주제의식에 충만하다. 제이슨 본은 항상 고뇌에 차 있고 때로는 처절하기까지 하다. 그는 3편을 통틀어서 아무 것도 가진 것이 없다. 단지 있다면 냉철한 두뇌과 극도로 훈련된 신체가 있을 뿐. 멋진 옷도, 본드 걸도, 고성능 무기도 없을 뿐 아니라 자신에 대한 기억마저 없으니, 우리가 생각하는 멋진 CIA요원과는 거리가 멀다. 그러나 묘하게도, 이러한 설정이 오히려 더욱 인간적인 인물을 창조했다. 사실 그는 자신이 CIA에서 훈련 받은 암살요원임을 기억하지 못하기 때문에 인간성과 도덕성을 회복해간다. 하지만 자신의 기억을 서서히 되찾고 상황을 파악하면서도 그는 도덕적으로 과거로 돌아가지 않음으로써보통사람인 관객의 우상이 될 수 있었다. 기억 상실은 제이슨 본에게는 악몽 같은 통과의례였지만 관객들에게는 그것이 그를 이해할 수 있는 유일한 통로이다. 더구나 영화의 끝은그래서 주인공은 결국 잘 먹고 잘 살았다는 도식적인 결말을 거부한다. 영화는 끝나도 제이슨 본은 마치 우리가 그런 상황에서 당할 수 밖에 없는 것과 꼭 같이 여전히 고독하게 쫓길 뿐이다. 여러 가지 의미에서 본 얼티메이텀은 007 시리즈의 혈통을 이어받았다기 보다는 아니라 격 자체가 다른 영화이다.  

기억과 정체성, 개인에 대한 권력의 감시, 국가와 개인 사이의 가치관의 괴리라는 거대 담론을 차치해도 본 시리즈는 충분히 볼만한 영화이다. 폴 그린그래스 감독의 고집으로 이루어진 현지 로케이션은 관객들에게 유럽의 이국적인 분위기를 느끼게 해 주는 것만으로도 흥미롭다. 처음부터 끝까지 어지러울 정도의 들고 찍기는 사실감을 극대화 시킨다. 때때로 사용되는 갑작스럽고 자유로운 줌인 또한 전혀 부자연스럽지 않으며 적재적소에 위치해 있다. 편집은 완급을 적절히 조절하며 긴장감과 박진감을 최고치로 끌어낸다.

 

모로코 탕헤르에서의 추격 씬이 보여준 놀라운 촬영 기법, 군더더기 없고 사실적인 격투 씬, 뉴욕에서의 자동차 추격 씬, 그리고 그와 적절하게 어우러지는 음향효과의 놀라움을 이야기하지 않더라도, 본 얼티메이텀의 가치는 이미 충분히 넘쳐난다. 촬영이나 편집에서의 기술적인 완성도, 이야기 구조의 탄탄함, 오락영화로서의 재미, 그리고 현대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점의 지적이라는, 영화가 이야기하고 보여줄 수 있는 모든 부분에 있어서 균형 감각이 거의 완벽에 가깝다. 본 시리즈는 우리가 더 나은 4, 5편이 기대되는 정말 희귀하고도 탁월한 영화임이 틀림없는 듯 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씨민과 나데르의 별거 (Nader and Simin, A Separation, Jodaeiye Nader az Simin, Asghar Farhadi, 2011) file

  • marcus
  • 2017-11-07
  • 조회 수 4504

폭력의 역사 ( A history of violence, David Cronenberg, 2005) file

  • marcus
  • 2014-10-08
  • 조회 수 4460

이 글은 2007년 닥터플라자의 영화 칼럼 <시네마 파라디소>에 게재되었던 글입니다. <크로넨버그 감독이 다시 우리와의 게임을 신청했다. 왜 당신 내부에 들어있는 잔인한 폭력성을 부정하느냐? 내가 그것을 까발려 줄 것인데 과연 그것이 가능할까, 아니면 불가능할까? 선택을 강요하면서 ...

시계태엽 오렌지(Clockwork Orange, Stanley Kubrick, 1971) file

  • marcus
  • 2014-10-08
  • 조회 수 4291

이 글은 2007년 닥터플라자의 영화 칼럼 <시네마 파라디소>에 게재되었던 글입니다. <수 많은 영화 교과서에 이미 인용되고 있는 ‘시계태엽 오렌지’는 큐브릭 감독의 탁월한 여러 개의 작품 가운데 하나이다. 폭력의 부당함을 이야기하기 위해 극단적인 폭력을 소재로 사용한 이 영화는 아직...

판의 미로 (Il laberinto del Fauno, Guillermo del Toro. 2006) file

  • marcus
  • 2014-10-07
  • 조회 수 3940

(이 글은 2006년 닥터플라자의 영화칼럼 <시네마 파라디소>에 게재되었던 글입니다.> <‘판의 미로’는 결코 범상한 영화가 아니다. 내전의 소용돌이 속에서 한 소녀가 만난 판, 그가 알려준 비밀과 지하세계로 돌아가기 위한 과제들이 이루어내는 환상적인 이야기. 삶과 죽음을 넘어선 희생과 구원의 문제...

데이비드 게일 (The Life of David Gale, Alan Parker 2003) file

  • marcus
  • 2014-09-26
  • 조회 수 3553

데이비드 게일 (The Life of David Gale, 2003) 어린 시절, <핑크 플로이드의 “벽”>으로 나를 사로잡았던 알란 파커의 최근작이다. 기존 체제와 가치관에 도전하는 정치적인 작품들로 깐느(1984, 버디) 그랑프리까지 수상했던 전력답게 그는 언제나 진보적이고 사회성 짙은 영화를 만든다. 잘 ...

나를 찾아줘 (Gone girl, David Pincher, 2014) file

  • marcus
  • 2014-11-04
  • 조회 수 3433

<나를 찾아줘>는 겉으로는 서스펜스 드릴러지만, 속은 결혼의 정체에 대한 깔끔한 보고서다. 깔끔하다면 좀 잔인한가? 하지만 너무도 명쾌한 결론 때문에 깔끔하다는 것 이상의 아름다운 표현은 불가능하다. 이야기에 다소의 무리는 있다. 하지만 그건 소설의 문제이거니와, 직유와 과장이라는 ...

홀리 모터스 (Holy Motors, Leos Carax 2012) file

  • marcus
  • 2014-09-27
  • 조회 수 3240

오래 전, 이것이 사랑인지 아닌지도 구별 못하던 소싯적, <뽕네프의 연인들>이란 영화를 보고 그 강렬한 이미지와 점프 컷, 함축과 생략의 아름다움에 엄청난 충격을 받았었다. 그 후 이 감독, 레오 까라가 언젠가는 대단한 영화를 만들고야 말 것이라는 기대 속에 살아온 것이 벌써 어언 30년이다. 그 이후 지금...

본 얼티메이텀 (Bourne Ultimatum, Paul Greengrass 2007) file

  • marcus
  • 2014-09-27
  • 조회 수 3211

본 얼티메이텀 (Bourne Ultimatum, Paul Greengrass 2007) 훌륭한 영화가 성공한 후 만들어진 속편은 일단 점수를 깎이고 들어가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강박관념은 종종 무리수를 두게 만든다. 따라서 속편이 전편의 작품성을 뛰어넘지 못하는 것은 이미 하나의 법칙처럼 되어있다. 그런데 여기 놀랍...

인터스텔라 (Interstellar, Christopher Nolan, 2014) file

  • marcus
  • 2014-11-20
  • 조회 수 3127

헐리우드 식 결말이 아쉽지만 3시간의 러닝 타임이 지겹지 않다. 이해하기 힘든 이론물리학적 현상들을 스크린에 표현했다는 점은 인상적이다. 블랙홀의 모습은 상상 밖이며, 높은 차원에서 시공을 초월할 수 있다는 사실도 잘 인식시켜준다. 상대성이론도 재미있게 묘사했다. 지구 원주민 인간의 욕심과 한계에 ...

가장 따뜻한 색 블루 (La vie d'Adèle, Abdellatif Kechiche, 2013) file

  • marcus
  • 2015-01-10
  • 조회 수 2878

사랑을 찾고, 사랑하고, 헤어진다는 통속적인 이야기를 3시간 동안 끌고 나가서는 급기야 깐느 황금종려상까지 받았으니 케시시 감독의 능력은 대단하다. 몇 가지 특별함 때문에 이 신파 멜로드라마는 강력한 힘을 가진다. 첫째는 동성애 이야기라는 것이다. 아직 정체성이 분명하지 않은 나이의 아델의 감정은...

퓨리 (Fury, David Ayer, 2014) file

  • marcus
  • 2014-12-23
  • 조회 수 2449

브래드 피트는 딱 맡아야 할 만한 역을 맡았다. 전설적인 전차장, 게다가 끝까지 임무를 수행하다가 장렬하게 전사한 영웅의 이미지를 잘도 그려낸다. 진부하다. 노먼의 소녀와의 갑작스런 만남, 그리고 이어지는 폭격으로 소녀가 죽어버린다는 이야기를 믿으라고 들이미는 뻔뻔스러움이 낯간지럽다. 기동력...

멜랑콜리아(Melancholia, Lars von Trier, 2011) file

  • marcus
  • 2015-01-10
  • 조회 수 2334

(주의: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안티 크라이스트>에 이은 라스 폰 트리에의 이 영화는 형식적으로 많은 부분을 전작과 공유하고 있다. 지구로 다가오는 새로 발견된 행성 <멜랑콜리아>는 마치 두 번째 달처럼 두 개의 그림자를 만들고, 지구에 사는 생명체들에게 다양한 영향을 끼친다. 행성이 다가오든...

패터슨 (Paterson, Jim Jamusch, 2016) file

  • marcus
  • 2018-07-23
  • 조회 수 2098

영화가 가지는 큰 장점은 현실을 뛰어 넘는 무언가를 보여주면서 관객들의 의표를 찌르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 영화는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을 모두 가진다. 오로지 내 주변에서 늘 일어날 수 있는 평범한 현실만을 보여주는 이 영화는 뭔가 큰 이야기를 기대하는 관객들의 바램을 끝까지 모...

킬링 디어 (the killing of a sacred deer, 2018, Yorgos Lanthimos) file

  • marcus
  • 2018-08-09
  • 조회 수 2062

내일을 위한 시간 (Two days one night, Jean-Pierre Dardenne & Luc Dardenne, 2014) file

  • marcus
  • 2015-04-26
  • 조회 수 1745

스틸 라이프 (still Life, 지아장커, 2006) file

  • marcus
  • 2018-07-16
  • 조회 수 1492

양쯔강 쌴사댐 건설을 배경으로 도망친 아내와 딸을 찾으러 온 남자와 바람난 남편을 만나러 온 여자의 이야기. 절제된 점프 컷, 건조한 화면 속에 펼쳐지는 리얼리즘 속에 차이밍량 풍의 엉뚱한 환상이 끼어들면서 영화는 독특한 개성을 가진다. 문명에 의해 파괴되어 가는 자연과 그 속에서 펼쳐지는...

원더 휠 (Wonder Wheel, Woody Allen, 2017) file

  • marcus
  • 2018-07-25
  • 조회 수 1466

해체된 가정, 실업자, 알콜 중독, 가정 폭력, 바람난 유부녀, 엄마와 의붓딸의 삼각관계, 조폭에게 쫓기는 딸, 방화를 일삼는 어린 아들...... 이 영화의 소재는 모두 견디기 힘든 밑바닥 삶의 질곡이면서, 삼류 막장드라마의 기본 요소이다. 그런데 이런 것들이 우디 앨런의 손을 거치면 천진난만한 코메...

자객 섭은낭 (Assassin, 허우 샤오시엔, 2015) file

  • marcus
  • 2017-11-07
  • 조회 수 1432

이 영화는 무협지인 동시에 한 편의 시다. 인간의 모든 욕망과 번뇌와 초월을 이야기하고 있는 이 철학적인 영화, 아마도 역사상 유일무이한 돌연변이 무협지일 것이다. 보지 않고는 설명하기가 어렵다. (사실은 보고도 설명하기 어렵다.) 역시 허우샤오시엔, 명불허전이다.

독전 (2018, 이해영) file

  • marcus
  • 2018-07-21
  • 조회 수 1355

스틸 라이프 (Still Life, Uberto Pasolini, 2014) file

  • marcus
  • 2018-02-03
  • 조회 수 1351

스틸 라이프 (Still Life, Uberto Pasolini, 2014) 우리는 아는 사람의 죽음에 대해서는 많은 것을 기억해내고 애도한다. 여기 모르는 사람의 죽음까지 애도하고, 그의 좋은 기억만을 보존하려는 사람이 있다면 우리는 그 사람을 어떻게 생각할까? 이 조용하고 동화같은 영화는 의미 없을 듯한 죤 메이의...

XE Login